메뉴 건너뛰기

ENGLISH

XEDITION

Mobile Tab
조회 수 19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인공지능 세상을 바꾸는 '온 디바이스 AI'

[지디룩인] '클라우드 AI' 한계 넘어 '리얼 AI' 구현...삼성, AI 미래 전면에

                                              

삼성전자 ‘엑시노스 9820’.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엑시노스 9820’.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최근 인공지능(AI) 분야 세계적 석학인 승현준(세바스찬 승)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교수를 삼성리서치 소장에 내정한 데 이어 인공지능 분야 박사급 인력 1천여 명을 채용하기로 했다. 수년 간 세계 각국에 인공지능 센터를 설립하고, 세계 유수의 대학과 인공지능 관련 연구개발 활동을 펼쳐온 삼성전자가 인공지능 분야의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한 것이다. 관련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클라우드 서버를 거치지 않고, 자체적으로 동작하는 '온 디바이스 AI' 개발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온 디바이스 AI는 기존 인공지능 기술(클라우드 AI) 대비 ▲빠른 서비스 ▲강화된 보안 ▲낮은 에너지 소비 등의 장점을 갖춘 인공지능 기술을 말한다. 이는 클라우드 AI 기술이 실제 서비스 환경에서 폭증하는 트래픽으로 인한 성능 저하와 탄소 배출, 개인정보 유출 등의 한계에 봉착하고 있는 가운데 클라우드 AI의 단점을 보완해 인공지능 기술이 우리 일상에 더욱 깊숙히 침투하게 만드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에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은 지난 3월 온 디바이스 AI를 향후 5년 안에 우리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올 10대 혁신 기술 중 하나로 선정하기도 했다.

(사진=삼성전자 뉴스룸)

삼성전자는 2016년 미래기술육사업 지정테마 지원과제 중 하나로 '온 디바이스 딥러닝(온 디바이스 AI)'을 미래 유망 기술로 보고, 이를 집중적으로 육성해왔다. 2018년에는 스마트폰의 온 디바이스 AI 구현을 위해 별도의 신경망처리장치(NPU)를 탑재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엑시노스9820'을 공개했으며, 2019년에는 딥러닝의 데이터 크기를 8분의 1 수준으로 줄여 전력 소모와 연산 기능(8배 향상)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양자화 구간 학습기술(QIL)'을 선보이기도 했다.

반도체 업계 안팎에서는 삼성전자가 온 디바이스 AI를 위한 별도의 조직과 인력구성에도 나설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이에 애플에서 온 디바이스 AI 개발을 주도한 인공지능 반도체 전문가 영입을 타진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현재 영입 대상으로 가장 유력한 후보로는 김녹원 딥엑스 대표가 거론되고 있다. 그는 브로드컴, IBM, 시스코 시스템즈, 애플 등을 거친 시스템 반도체 설계 전문가로, 애플에서 온 디바이스 AI를 구현한 A11 바이오닉 AP(아이폰X 적용) 설계를 주도한 바 있다.

(자료=삼성전자 뉴스룸)

온 디바이스 AI 기술은 삼성전자 외에도 구글, 애플, 퀄컴 등 글로벌 기업들이 지속적인 연구활동을 펼치고 있다. 아직은 실시간 통번역 기능과 이미지 보정 작업을 하는 등의 기초적인 수준이지만, 클라우드 AI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온 디바이스 AI를 활용한 서비스와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측된다.

특히, 인공지능 구현을 위한 딥러닝(학습과 추론의 반복) 과정에서 온 디바이스 AI는 추론 역할을 분담하고, 클라우드 AI는 학습 역할을 맡아 빅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담당하는 방식이 거론된다. 이를 활용하면 클라우드 AI와 온 디바이스 AI를 연계해 자율주행차, 드론,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도의 인공지능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앞으로 온 디바이스 AI 기술개발은 더욱 빠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경량화'와 '고성능 하드웨어 개발'로 이어질 전망이다.

알고리즘 경량화는 딥러닝 데이터 학습의 순위를 세분화하는 동시에 우선순위를 두는 방식으로, 대표적으로 삼성전자의 QIL 기술을 꼽을 수 있다. QIL 기술은 전체 데이터 중 의미 있는 데이터의 범위을 학습을 거쳐 결정한 뒤 의미 있는 범위의 데이터만 양자화해 4비트 이하의 데이터를 사용해도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식이다. 삼성전자는 이를 통해 반도체 트랜지스터 개수를 기존 대비 불과 120분의 1만 사용하면서도 기존과 동일한 연산결과를 얻을 수 있는 성과를 입증한 바 있다.

고성능 하드웨어 개발은 에너지 소모가 높아 비효율적인 중앙처리장치(CPU)나 연산에 적합하지만, 가격이 높은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대신할 수 있는 별도의 인공지능 반도체 NPU로 개발이 가속화되는 추세다. NPU는 딥러닝에 맞춰 설계된 시스템 반도체로, 스마트폰을 포함해 웨어러블, 사물인터넷 기기 등 빅데이터 수집에 적합한 소형 기기에 탑재가 용이하다. 이에 삼성전자나 애플, 화웨이 등의 주요 스마트폰 업체들은 모두 독자적인 NPU에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퀄컴은 행보는 이와 다르다. 퀄컴은 지난 2013년 NPU ‘제로스’를 공개한 바 있지만, 이후 이를 자사 AP '스냅드래곤 플랫폼'에 통합한 신경망처리엔진(NPE)으로 적용하고, 디지털신호처리장치(DSP)를 활용한 텐서플로우 가속기(헥사곤텐서가속기)로 온 디바이스 AI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2020.06.24양태훈 기자

※지디룩인은 ICT 산업에서 주목받는 최신 기술 트렌드를 알기 쉽게 조명하는 지디넷코리아의 기획 코너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공지 [보도자료] KAIST, ‘엔비디아 통합메모리’ 없이 세계 최고속 그래프 연산 성공 관리자 2025.08.22 198
공지 [보도자료] 아부다비 자율드론 대회, "AI 드론이 인간 조종사 물리치고 우승" 관리자 2025.08.22 155
공지 [보도자료] 전국 고속도로 전 구간 '자율주행차 시범지구' 지정 file 관리자 2025.08.22 143
공지 [보도자료] 제20회 한국로봇종합학술대회 최우수 논문상 '충북대 김곤우 교수 팀' 차지 관리자 2025.02.17 727
공지 [보도자료] 지능로봇공학과 김곤우 교수,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 교육부 장관표창 수상 관리자 2025.01.24 657
공지 [보도자료]충북대 Clothoid-T팀 '2024 스케일카 자율주행 경진대회' 교육부장관상 수상 file 관리자 2024.11.26 709
공지 [보도자료] 지능로봇학과 타요이글스 'F1 Tenth Korea Championship 자율주행대회' 준우승 쾌거 file 관리자 2024.11.06 659
공지 [보도자료] 미래 안보주역들이 보는 군 발전 방향은 (김태민 지능로봇공학과 3학년 최우수상 수상) file 관리자 2024.11.04 674
공지 [보도자료] [자막뉴스] '운전자 없어도 이 정도'...자율주행 기술 선보여(이전혁 제어로봇공학전공 박사수료) 관리자 2024.11.04 461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Clothoid-R팀, 미래 자동차 기술은 우리가 선도한다! file 관리자 2024.09.30 559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지능로봇공학과 SUVLab팀, 정찰 드론 기술 앞섰다! 국방부장관배 드론봇챌린지 수목통과 정찰드론 종목 1위 관리자 2024.09.13 14538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F1 Tenth 그랑프리 자율주행대회’ 준우승 file 관리자 2024.06.11 2405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자율주행 로봇레이스 `두각' file 관리자 2024.05.28 2362
공지 충북대 자율주행 로봇레이스 `두각' 관리자 2024.05.28 2182
공지 [보도자료] 충북대 박찬식 교수, 과학기술진흥유공 장관표창 관리자 2024.05.09 2281
공지 [보도자료]김곤우 충북대 지능로봇공학과 교수,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 수상 관리자 2023.10.18 2475
공지 [보도자료] 첨단기술 융합한 ‘로봇’ 일상화 시대 맞이…업계 움직임도 활기 file 관리자 2023.05.08 2250
공지 [보도자료] Clothoid-R팀, 2023 자율주행 로봇레이스대회 우수상 수상 file 관리자 2023.04.20 2364
공지 [보도자료] 국방혁신4.0 상징 국방AI센터, “이공계 석·박사 출신 전문사관 등용하고 데이터 접근성 확대해야” file 관리자 2023.03.13 2305
29 [보도자료] 자율주행차 경쟁력 위해 흩어진 R&D 통합한다 관리자 2020.09.16 1680
28 [보도자료] 미래 디지털 혁신 방점은 '빅데이터·AI<인공지능>' 관리자 2020.09.11 1690
27 [보도자료] 인공지능·로봇·수소산업 ‘미래 투자’로 코로나 장벽 뚫는다 관리자 2020.09.01 1694
26 [보도자료] 과기부, 2021년 예산 중 13% AI에 투입 관리자 2020.09.01 1756
25 [보도자료] 2021 수시특집-충북대 수시65.1% 1801명 모집..지능로봇공학과 신설 관리자 2020.08.26 1718
24 [보도자료] 인공지능 기반 자율방역 로봇 등 40개 개발과제에 370억원 지원 관리자 2020.08.26 1699
23 [보도자료] '자율주행버스 타고 라팍 가자'…18일부터 일반인 시승 관리자 2020.08.11 1717
22 [보도자료] LG유플러스, 5G 기반 자율주행 로봇 선보인다 관리자 2020.08.11 1690
21 [보도자료] 누구나 집 주변에서 인공지능 교육 받는다 관리자 2020.08.10 1691
20 [보도자료] '엘리베이터 타고왔어요' 세계 최초 실내외 자율주행 배민로봇 관리자 2020.07.22 1756
19 [보도자료] 한국전기연구원, 창원본원에 창원인공지능연구소 개소 관리자 2020.07.18 1697
18 [보도자료] "인공지능·SW 핵심인재 10만 양성…디지털 대전환 대비" 관리자 2020.07.10 1721
» [보도자료] '리얼 AI' 구현...삼성, AI 미래 전면에 관리자 2020.07.06 1994
16 [보도자료] 인천로봇랜드 산업시설 5배 확대…개발 본격화(로봇기업수 400개사, 매츌 9240억원, 고용 6000명 증가) 관리자 2020.06.29 1687
15 [충북대학교 블로그] AI로봇과 인간이 공존하는 시대를 만들기 위해 연구하는 학과, 지능로봇공학과를 소개합니다! file 관리자 2020.06.19 2830
14 [보도자료] 韓포함 15개국 "인간중심 인공지능" 국제 협의체 출범 관리자 2020.06.16 1691
13 [보도자료] ‘AI 강국’ 앞당긴다!…LG전자·LGU+·KT, AI 동맹 체결 file 관리자 2020.06.09 1715
12 [보도자료] 코로나19가 앞당긴 로봇 시대 file 관리자 2020.06.09 1688
11 충북대, Grand ICT 연구센터 유치 달성(총괄책임자: 지능로봇공학과 박태형 교수) file 관리자 2020.06.05 1791
10 [보도자료] `언택트`가 앞당긴 로봇시대… AI·클라우드·5G 활용 기술진화 가속 관리자 2020.06.01 1725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Next
/ 9
위로